본문 바로가기

방문요양.재가센터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자격.등급판정.수가.본인부담금

2025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총정리
내 부모님을 위한 최신 가이드 

안녕하세요, 재가센터 및 복지 정보 전문 컨설턴트입니다. 부모님의 돌봄 문제에 직면했을 때, 가장 먼저 정확하게 알아봐야 하는 것이 바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입니다. 하지만 이 제도는 매년 보험료율, 서비스 수가, 월 한도액 등이 조금씩 변경되기 때문에 작년에 알고 있던 정보가 올해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을 맞아 새롭게 적용되는 최신 정보를 모두 담아, 보호자분들이 궁금해하는 모든 것을 총정리해 드리는 완벽 가이드를 준비했습니다. 이 글 하나만으로 2025년 장기요양보험의 모든 것을 파악하실 수 있도록 꼼꼼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제도의 기본 원리: 2025년, 우리는 무엇을 위해, 어떻게 기여하나요?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어르신 돌봄을 더 이상 한 가족의 짐으로만 두지 않고, 우리 사회 전체가 함께 책임지는 '사회적 효도' 제도입니다. 이를 위해 모든 국민은 건강보험료와 함께 장기요양보험료를 납부하여 재원을 마련합니다.

2025년 장기요양보험료율 (동결)

2025년 장기요양보험료율은 국민 부담을 고려하여 2024년과 동일하게 '건강보험료액의 12.95%'로 동결되었습니다. 매달 내는 건강보험료 고지서를 보시면, 건강보험료와 함께 장기요양보험료가 함께 찍혀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 이 돈이 모여 어르신들을 위한 든든한 돌봄 기금이 됩니다.

2. 신청 자격과 등급 판정: 누가, 어떤 절차로 받나요?

신청 자격과 등급 판정 절차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 신청 자격: 만 65세 이상으로 거동이 불편하시거나, 만 65세 미만이라도 치매, 뇌졸중 등 노인성 질병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분.
- 판정 절차: ①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인정신청서 제출 → ②공단 직원의 방문조사 → ③의사소견서 제출 → ④등급판정위원회의 심의 → ⑤결과 통보 (신청 후 약 30일 소요)

3. 2025년 서비스 종류와 최신 수가: 어떤 서비스를 얼마에 이용할 수 있나요?

2025년 장기요양 수가는 2024년 대비 평균 3.93%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요양보호사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함입니다.

2025년 주요 재가급여 수가 (서비스 비용)

어르신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시는 방문요양과 방문목욕의 2025년 기준 수가입니다.
- 방문요양 (1회 방문당):
  • 120분(2시간): 42,160원
  • 180분(3시간): 55,350원
  • 240분(4시간): 68,030원
- 방문목욕 (1회 방문당):
  • 차량 이용 시: 86,480원

본인부담금 계산법

이용자는 위 수가(총비용)의 일부만 부담합니다.
- 재가급여 (방문요양 등): 총비용의 15% (기초생활수급자 0%, 차상위 등 경감 대상자 6% 또는 9%)
- 시설급여 (요양원 등): 총비용의 20%
예를 들어, 하루 3시간 방문요양(55,350원)을 이용했다면, 일반 대상자는 15%인 약 8,303원을 부담하고 나머지는 공단이 지원합니다.

4. 2025년 등급별 월 한도액: 한 달에 얼마나 이용할 수 있나요?

등급에 따라 한 달에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총금액(월 한도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2025년에는 특히 중증이신 1, 2등급 어르신의 한도액이 대폭 인상되어, 가정에서 더 충분한 돌봄을 받으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등급 2024년 2025년 인상액
1등급 2,069,900원 2,306,400원 +236,500원
2등급 1,869,600원 2,083,400원 +213,800원
3등급 1,455,800원 1,485,700원 +29,900원
4등급 1,341,800원 1,370,600원 +28,800원
5등급 1,151,600원 1,177,000원 +25,400원
인지지원등급 643,700원 657,400원 +13,700원

2025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핵심 요약표

구분 2025년 주요 내용 보호자가 꼭 기억할 점
보험료율 건강보험료의 12.95% (2024년과 동일) 국민 모두가 참여하는 사회보험입니다.
신청 자격 만 65세 이상 또는 노인성 질병으로 거동이 불편한 분 '혼자 일상생활이 어려운 정도'가 핵심입니다.
수가 (서비스 비용) 평균 3.93% 인상 (방문요양 3시간: 55,350원)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현실적인 조정입니다.
월 한도액 1, 2등급 대폭 인상 (1등급: 2,306,400원) 중증 어르신의 재가 서비스 이용이 확대됩니다.
본인부담금 재가급여 15%, 시설급여 20% (기존과 동일) 소득 수준에 따라 경감 혜택이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자격.등급판정.수가.본인부담금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자격.등급판정.수가.본인부담금